[프로그래머스] Lv.1 기사단원의 무기
프로그래머스 Lv1 중 서치 없이 푸는데 실패한 문제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정리 내용 출처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문제 설명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이 2라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무기점에서 공격력이 2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무기를 만들 때, 무기의 공격력 1당 1kg의 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무기점에서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미리 계산하려 합니다.
기사단원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umber와 이웃나라와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나타내는 정수 limit와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을 나타내는 정수 power가 주어졌을 때, 무기점의 주인이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제한사항
- 1 ≤ number ≤ 100,000
- 2 ≤ limit ≤ 100
- 1 ≤ power ≤ limit
입출력 예
number | limit | power | result |
5 | 3 | 2 | 10 |
10 | 3 | 2 | 21 |
방식 해설
주어진 기사단원의 수만큼 배열을 만든다. 이때 각 인덱스 번호(0 ~ n-1)에 1을 더한 수가 기사단원들의 번호가 된다.
각 기사단원들의 기사 번호의 소수를 구해 그 개수만큼을 리턴받아 배열에 저장한다.
( 이때, 보통 소수 구하는 방법으로 구현하면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 때문에 더 간단하게 소수를 찾는 구현방식을 알아보았다. 아래 설명)
위에서 구한 값(기사번호에 해당하는 값의 소수의 개수)이 limit 값보다 크면 해당 값을 power로 바꿔준다.
배열의 값을 모두 더한값이 answer에 해당한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limit, int power) {
int answer = 0;
int arr[] = new int[number];
// 기사단원의 수만큼 반복하며
for(int i = 0; i < number; i++) {
arr[i] = prime(i + 1);
// 각 기사단원의 번호의 약수를 구해 해당 값이 제한값보다 큰 경우
// 해당 값은 미리 주어진 power로 바뀐다.
if(arr[i] > limit) arr[i] = power;
// answer는 총 무게량이기 때문에 arr[]값을 모두 더해준다.
answer += arr[i];
}
return answer;
}
// 소수 구하는 함수
public int prime(int n) {
int result = 0;
for(int i = 1; i * i <= n; i++) {
if(i * i == n) result += 1;
else if(n % i == 0) result += 2;
}
return result;
}
}
❗️약수 개수 구하기
1) 보통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1부터 N까지의 숫자로 N을 나눠 약수인지 판별해 개수를 구한다.
-> 해당 방법은 1부터 N까지 전부 검증해야 하기 때문에 실행 시간 O(n)으로 N값이 커질수록 비효율적이다.
int N = 1000000000;
int count = 0;
for (int i = 1; i <= N; i++) {
if (N % i == 0) count++;
}
System.out.println(count);
2) N의 약수 하나를 알면 그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약수가 존재한다는 점을 이용해 절반만큼만 검증해 약수의 개수를 구한다.
1부터 루트N 까지 구하면 나머지 개수는 그에 대응된다. (1부터 루트N 이전까지의 개수 * 2, 루트N 존재하면 개수 +1)
-> 실행시간 O(루트N)으로 단축된다.
int N = 1000000000;
int count = 0;
for (int i = 1; i * i <= N; i++) {
if (i * i == N) count++;
else if (N % i == 0) count += 2;
}
System.out.println(count);
[Java] 약수의 개수 구하기
방법1 N의 약수 개수 구하는 방법을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오르는 방법은 N을 1부터 N까지의 숫자로 나눠 약수인지 판별하여 카운트를 해주는 방법이다. 코드로 구현해보면 아래와 같다. int N = 100000
chwan.tistory.com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679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